처음 사용하시는 분을 위해 길라잡이 (기초 편) 과 길라잡이 (글리프 편집 편)
을 준비했으므로, 먼저 봐 주세요.
먼저, 당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명확히 해 주세요. 한자 글리프(한자 자형)를 등록하고 싶거나 등록돼 있는 글리프를 활용하고 싶다면 부디 아래 내용을 읽어 주세요!
한자 글리프를 등록한다는 것은, 글리프위키에 문서를 투고하는 것입니다. 글리프위키에서는 한자 한 글리프가 위키의 한 문서(페이지)에 해당합니다. 만약 당신이 처음으로 글리프위키에 문서를 투고한다면, 글리프 디자인 방법(GlyphWiki:글리프디자인방법)도 잘 읽어 주세요. 먼저 sandbox에서 연습하면 더 좋겠지요.
또한, 글리프위키에서는 한자 이외의 글리프에 대해서는 등록이 제한되어 있습니다. 자세한 것은 등록할 수 있는 글리프에 대해(GlyphWiki:등록할수있는글리프에대해)를 봐 주세요.
글리프위키에서는 모든 글리프에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. 당신이 새로 글리프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글리프의 이름을 생각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. 먼저 글리프에 이름 붙이기(GlyphWiki:글리프에이름붙이기)를 참조하세요.
코드 번호(국제 부호화 문자 집합(GlyphWiki:국제부호화문자집합)에 정의돼 있는 코드 포인트)가 붙어 있는 것이라면, 맨 앞에 u를 붙인 16진수(알파벳은 소문자)로 표현해 보세요. 예를 들어 一은 U+4E00이므로, u4e00이라는 이름이 적합합니다. 이러한 기존 문자 코드나 큰 자전의 표제자 등에 대해서는 명명 가이드라인(GlyphWiki:명명가이드라인)을 참고하세요.
그 이외에는 적당히 이름을 붙여 주세요. 이름은 선착순이 아닙니다. 이미 다른 사람이 같은 이름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, 새로운 데이터로 덧씁니다(덧쓰인 옛 데이터도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).
사실은 어떤 이름을 붙여도 상관없습니다. 다만, 사용할 수 있는 문자는 정해져 있습니다. 영문 소문자와 숫자, 하이픈(-)으로, 맨 첫 글자는 소문자, 마지막은 소문자 또는 숫자로 해 주세요. 전체 문자 수는 5자 이상 60자 이내여야 합니다.
만약 여러 글리프들이 지금 덧쓰인 예전 글리프를 사용하고 있다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? 답은 ‘덧쓸 때, 덧쓰인 글리프를 사용하고 있는 글리프들에 덧쓰기 전의 글리프의 버전 번호가 자동으로 부여’됩니다. 즉 한 번 등록된 글리프 디자인은 언제까지나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. 사용된 부품이 새로워져도, 그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글리프들은 부품의 옛 버전을 지정하도록 데이터가 바뀌고, 글리프에 변화는 생기지 않습니다.
빨간색은 등록되지 않은 글리프(문서)로 가는 링크를 의미합니다. 이것을 클릭하세요. 이렇게 하면 새로운 문서를 쓸 수 있습니다. 자, 당신의 글리프를 부디 등록해 주세요. 디자인 작업에 대해서는 글리프 디자인 방법(GlyphWiki:글리프디자인방법)을 읽어 주세요.
URL은 아래와 같이 글리프 이름을 직접 입력합니다. 버전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 섬네일(thumbnail)용으로 50×50픽셀의 그레이스케일(grayscale)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글리프 u4e00의 경우, 아래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.png 200픽셀 PNG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.svg SVG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.eps EPS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.50px.png 50픽셀 섬네일, PNG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.100px.png 100픽셀 섬네일, PNG 형식
위 URL로 직접 링크를 걸어도 괜찮습니다.
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@1.png 버전 1, 200픽셀 PNG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@1.svg 버전 1, SVG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@1.eps 버전 1, EPS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@1.50px.png 버전 1, 50픽셀 섬네일, PNG 형식 http://glyphwiki.org/glyph/u4e00@1.100px.png 버전 1, 100픽셀 섬네일, PNG 형식
글리프위키는 한자 글리프를 한 개 단위로 관리합니다. 이렇게 축적된 글리프 집합을 글꼴 파일로 정리하고 싶을 때는, ‘그룹’(グループ, group)이라는 개념을 이용합니다. グループ:(그룹 이름)이라는 위키 문서를 만들어 주세요. 그룹 이름은 한 글자 이상의 임의의 한자, 가나(かな), 영문, 숫자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이 문서에 한 줄 한 글리프 형식으로 글리프 이름을 나열해 주세요. 다음은 데이터를 저장하고, 한 번 더 그 문서를 보세요. 그러면 ‘글꼴 생성’(フォントを生成する)이라는 링크가 나옵니다. 이 링크를 클릭하면, 문자 수에 따라 조금 시간이 걸리지만, 잠시 뒤 글꼴이 만들어집니다. 그 다음에는 다운로드해서 자유롭게 사용해 주세요. 만들어진 글꼴은 언제나 다운로드 가능하므로, 다른 사람에게 URL을 알려 주고 배포하는 것도 가능하고, 직접 링크를 걸어도 괜찮습니다. 자세한 것은 글꼴 생성(GlyphWiki:글꼴생성)을 봐 주세요.
http://glyphwiki.org/dump.tar.gz
이 아카이브(archive) 파일에는 데이터 파일 두 개(dump_newest_only.txt와 dump_all_versions.txt)가 포함돼 있습니다. 각각 한 줄당 글리프 이름, 관련자, 글리프 데이터 순으로 기록돼 있습니다. dump_newest_only.txt에 포함된 것은 최신 버전만의 데이터입니다. dump_all_versions.txt에 포함된 것은 각 글리프의 모든 버전의 데이터입니다. 다만 양쪽 모두 유효한 데이터만 포함됩니다.
또한, 아래 장소에서 미러를 공개하고 있습니다.
http://kage.sourceforge.jp/glyphwiki/
이 데이터는 KAGE/engine을 사용해서 한자 자형으로 변환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아래 URL을 사용해 개별 글리프를 JSON/JSONP 형식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.
http://glyphwiki.org/json?name=[글리프 이름]{@[버전 번호]}{&callback=[콜백 함수 이름]}
http://glyphwiki.org/json?name=u4e00
http://glyphwiki.org/json?name=u4e00@2
http://glyphwiki.org/json?name=u4e00&callback=callback
얻어진 데이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.
name | 글리프 이름 |
version | 버전 번호 |
related | 관련자 (U+코드 포인트) |
data | KAGE 데이터 |
또한, 유효하지 않은 글리프 이름이라면 빈 오브젝트가 반환됩니다. 유효하지 않은 버전을 지정하면 data와 related에는 null이 들어갑니다. 콜백 함수 형식에는 함수 이름을 지정해 주세요. 맨 처음은 언더스코어(underscore, _)이나 영문자, 그 이후에는 언더스코어나 영문자, 숫자를 지정해 주세요. 유효하지 않은 경우 callback이라는 함수 이름이 붙습니다.
그룹으로 등록한 것이나, 등록한 글리프 한 자를 웹 폰트(@font-face)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. 브라우저가 웹 폰트를 지원해야 합니다.
HTML의 <head> 내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 주세요.
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http://glyphwiki.org/style?page=(페이지 이름)&label=(임의의 레이블)">
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됩니다. 페이지 이름에 버전을 붙이는 것도 지원합니다. 레이블은 영문자·숫자 60자 이내여야 합니다. 레이블을 붙이지 않으면 glyphwiki라는 레이블 이름이 붙습니다.
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http://glyphwiki.org/style?page=Group:ウェブフォント&label=webfont"> 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http://glyphwiki.org/style?page=Group:ウェブフォント@1&label=webfont"> 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http://glyphwiki.org/style?page=Group:ウェブフォント">
위와 같이 입력하면,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(첫 번째의 예).
@font-face { font-family: webfont; src: url(http://glyphwiki.org/font/gw465758.ttf); } .webfont { font-family: webfont; }
이렇게 하고 나서, <span class="webfont">■</span>와 같은 형식으로 글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또는 직접 스타일로 style="font-family: webfont;"와 같이 지정할 수 있습니다.
레이블을 여러 개 써서 여러 그룹 페이지의 글꼴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.
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http://glyphwiki.org/style?glyph=(글리프 이름)">
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습니다.
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http://glyphwiki.org/style?glyph=sandbox">
글리프 하나일 경우는 버전을 지정할 수 없습니다. 또한, 〓에 그 글리프가 할당되므로, 그 문자를 사용하고 싶은 부분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. 레이블은 글리프 이름이 됩니다.
<span class="sandbox">〓</span>
블로그와 같이 <head> 내에 입력할 수 없는 경우, 만약 <script>를 사용할 수 있다면 Google Font AP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똑같이 글리프위키의 문자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.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 WebFontConfig = { custom: { urls: ['http://glyphwiki.org/style?glyph=sandbox'] } }; </script> <script src="http://ajax.googleapis.com/ajax/libs/webfont/1/webfont.js" type="text/javascript"></script>
문자를 불러오는 방법은 <link>의 경우와 같습니다.
<span class="sandbox">〓</span>